ddd (2) 썸네일형 리스트형 DDD 개발 이해하기 : 도메인(Domain)과 애그리거트(Aggregate) 현업에서 서버들이 MSA 아키텍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 MSA를 탄생시킨 도메인 주도 개발, DDD에 대해서도 알아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또한, 이 DDD 에서 아키텍처의 핵심은 도메인 객체를 지켜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 도메인 객체를 잘 지켜내고 관리하기 위해서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라는 선배 개발자의 말을 듣고,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현재 담당하고 있는 서버 구조에 적용하기 위해서라도 먼저 DDD 자체에 대해 공부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번에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 DDD 핵심 개념 정리부터 구현까지] 책을 읽어보며 정리하게 되었다. 도메인(Domain)이 무엇인가요? 도메인은 소프트웨어로 해결하고자하는 문제의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 헥사고날 아키텍처(Hexagonal Architecture) 란? 우선, 간단하게 위키피디아에서 어떻게 헥사고날 아키텍처(Hexagonal Architecture)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헥사고날 아키텍처(Hexagonal Architecture) 란? The hexagonal architecture, or ports and adapters architecture, is an architectural pattern used in software design. It aims at creating loosely coupled application components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ir software environment by means of ports and adapters..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