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증과 인가, 그리고 OAuth 웹 개발을 하고 있다면, 인증이랑 인가 쪽을 직접 한땀한땀 구현해야할 일은 많이 없을지라도! 그래도 인증, 인가의 개념이 무엇인지 이해해야할 상황은 반드시 있으리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유료 서비스는 '인증'된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고, 그 안에서도 기능에 따라 '인가'된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증, 인가 쪽은 카카오 간편 로그인 서비스 정도를 붙일 때 많이 들어봤을 수 있고, 요즘 뜨고 있는 keycloak(키클록) 오픈 소스를 사용하면서 좀 더 관심이 생겼을 수 있고, 이렇게 둘다 아니더라도 리소스 서버를 개발하면서 토큰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토큰을 까서 사용자 권한을 체크하는 과정을 해보면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 개념일 수도 있다. 익숙하게 느껴지더라도, 정확하게는 모를 수도 .. 이전 1 2 3 다음